2021. 12. 12. 12:26ㆍ기타
과거에 나는 내가 만들고 있었던 보드게임 '스택'에 보물이라는 컨셉을 추가하였다. 나는 여러가지 보물들을 제작하면서 각 보물들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스택언어를 만들었다. 지금 이 '수식언어 프로젝트'는 친구들과 함께하는 스택언어를 확장한 프로젝트이다.
문장의 구조
문장은 식, 수학 기호, 특수문자 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학 기호와 특수문자는 각각 어떤 영어단어로 바꿔 표기+발음할 수 있다.
다. 예를 들어 [=]는 ped로 발음한다.
'식+수학 기호 or 특수문자+식'
위의 모습이 바로 문장의 기본적인 구조이다. (단, A=0 이라고 표기할때는 '=0'을 생략)
수학기호와 특수문자 그리고 식은 얼마든지 배열될 수 있지만 특정 수학 기호나 특수문자는 연속할 수 없거나 식은 한 문장에 꼭 2개 이상 존재해야 한다는 등, 예외상황도 존재한다. 이제 몇가지 기초적인 수학 기호, 특수문자 를 알아보자.
식의 마무리
(주어)가 (행동언,상태언)함, (행동언 상태언)함, (주어) 등의 구조이다.
행동언은 동사, 상태언은 형용사 로 생각하는게 좋다.
기초 수학 기호, 특수문자
[=] (발음+:ped)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A=B' 는 'A는 B이다.' 라는 기호이다. (A=0 이라고 표기할때는 '=0'을 생략)
'='이 사용되는 예시는 이러하다.
나는 달린다. -> 나=달림
[^] (발음:cov)
'^'는 특징을 표기해주는 기호이다.
B^A 에서 B가 A의 특징을 나타낸다.
그 예시는 이러하다.
행복한 나 -> 행복함^나=0 (원래는 '=0'은 생략되지만 문장의 구조를 더 잘 보여주기 위해 '=0'을 표현)
[∂, 9] (발음:cet, qu)
'∂, 9'는 부정을 뜻하는 기호이다.
만일 'A가 아닌/아니다/...'를 표현하려고 한다면 ∂A, 9A 로 표현한다.
그 예시는 이러하다.
나는 슬프지 않다. -> 나=∂슬픔 or 9슬픔
[→] (발음:su)
'→'는 인과의 역할을 한다.
'A→B'는 'A라서 B이다./A 때문에 B가 됐다./...'의 뜻을 가진다.
이번에도 그 예시를 들어본다면 이러하다.
나는 배가 고파서 밥을 먹는다. -> 나=배가 고픔→밥을 먹음
[f(X)] (발음:fracX)
'번역함수 f(X)'는 X에 대한 f의 번역값을 뜻한다. 이 기호는 직접 정의하고 사용하는 것과 그냥 사용하는 것이 있는데 그냥 사용한다면 강조할때 사용된다.
만일 직접 번역함수를 정의했다면 기존의 사용방식은 f'(X)이 된다.
다음에는 더 다양한 수학 기호와 특수문자를 설명하겠다. 나중에는 단어까지 직접 만들어보도록 하겠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식언어 프로젝트 #2.연결사와 분수로의 확장 (3) | 2021.12.14 |
---|---|
정수론 글 현황 :) (0) | 2021.11.08 |
조합론 글 현황 :) (0) | 2021.11.07 |
화학 1,2 글 현황 :) (0) | 2021.10.24 |
물리1,2 글 현황 :) (0) | 2021.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