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생물(7)
-
자극에 대한 반응[신경계] 2-5
뉴런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뉴런은 신경계를 구성하는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인 신경 세포이다. 신경세포체,축삭돌기,가지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2021.10.27 -
자극에 대한 반응[후각기,미각기,피부감각기] 2-4
코의 구조와 기능 기체상태의 화학물질에 자극을 받는다. 감각기관 중에서 역치가 작아 예민하고 쉽게 피로해진다. 후각의 성립 과정 기체의 화학물질->후강상피->후각세포->후각신경->대뇌(후각 중추) 혀의 구조와 기능 액체상태의 화학물질에 자극을 받는다. 구조:유두(혀의 표면에 있는 작은 돌기), 맛봉오리(미각을 맡은 꽃봉오리 모양의 기관, 미각 세포와 지지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혀의 윗면에 분포) 미각의 성립 과정 액체의 화학물질->미뢰->미각세포->미각신경->대뇌(미각 중추) ※음식의 맛은 미각기와 후각기를 통해 받아들인 맛과 냄새 자극을 대뇌에서 종합적으로 느끼는 것이다. 피부감각기 감각점:신경 말단이 특수하게 분화되어 만들어진 감각 수용기로 피부의 여러 감각점은 피부의 진피에 존재한다. 감각..
2021.10.26 -
자극에 대한 반응[귀] 2-3
귀의 세 가지 구조와 각각의 특징 외이 귓바퀴는 음파가 가장 먼저 귀와 맞닥드리는 곳으로 음파를 모아(증폭) 외이도로 전달한다. 외이도는 음파의 이동통로로 외이와 중이를 연결한다. 중이 음파는 외이와 중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고막(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얇은 막)을 지나 귓속뼈에 도달하게 된다. 귓속뼈는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하고 귀인두관은 중이와 외부의 기압을 같게 한다. 내이 달팽이관,전정기관,반고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달팽이관 속에 림프가 존재 전정계,고실계,달팽이 세관으로 구성 전정기관(자극원:중력) 평형 감각 기관인 공통점이 있으며, 전정기관은 위치 감각을 수용하는데 반해 반고리관은 회전 감각을 수용한다. 반고리관(자극원:회전) 청각의 성립 과정 음파->귓바퀴->외이도->고막 진동->..
2021.10.26 -
자극에 대한 반응[눈] 2-2
눈의 구조 공막(안구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흰색의 막) 눈의 내부를 보호한다. 각막(공막의 일부가 투명하게 변한 막) 수정체를 보호하고 안구의 앞쪽에 위치한다. 망막(안구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막) 상이 맺히는 곳이고 시세포가 분포해 있다. 황반과 맹점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황반은 망막에서 시세포가 밀집되어 있는 곳이고, 황반으로부터 코쪽 방향에 위치되어 있는 맹점은 망막에서 시세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곳이다. 이를 통해 황반에서는 상이 선명하게 보이는 반면, 맹점에서는 상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맥락막(공막 안쪽의 막,혈관이 분포) 멜라닌 색소를 함유하여 내부를 어둡게 한다. 홍채와 섬모체 홍채는 색소를 함유하여 눈동자의 색을 결정 수축과 이완을 하면서 동공의 크기 조절 ->눈에서 물..
2021.10.17 -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 특별-2
모세혈관 수용성 영양소(포도당,아미노산,물,무기염류,수용성 비타민 B1,C)를 흡수한다. 수용성 영양소는 모세혈관을 통해 간문맥->간->간정맥->하대정맥->심장 의 방식으로 이동한다. 암죽관 지용성 영양소(모노글리세리드,지방산,지용성 비타민 A,D,E,K)를 흡수한다. 지용성 영양소는 암죽관을 통해 림프관->가슴관->좌빗장밑정맥->상대정맥->심장 의 방식으로 이동한다. Why? 수용성 영양소는 간을 거쳐 심장으로 갈까? 간의 특징을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간의 특징에는 알콜분해,해독작용,NH3->요소,쓸개즙 생성(파괴된 적혈구로),혈장 단백질 생성,발열,혈당량 조절 등이 있다. 여기서 혈당량을 조절하기 위해 수용성 영양소는 심장으로 갈때 간을 거쳐간다. (가)구간에서 간문맥과 간정맥의 혈당량 차이는 간에..
2021.10.14 -
자극에 대한 반응[감각기] 2-1
자극이란? 내,외부의 조건변화 자극은 2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물리적 자극과 화학적 자극이 있다. 반응이란? 자극에 대해 생물이 나타내는 변화 역치와 실무율 역치는 감각세포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의 자극의 세기이며 그렇기 때문에 자극의 세기가 역치보다 약할 경우 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실무율은 자극의 세기가 역치 이상이 되면 반응의 크기가 일정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각 세포마다 역치가 다르기 때문에 단일 근섬유,신경섬유의 경우에는 세포가 하나라 왼쪽 개형의 그래프가 나타나지만, 세포가 여러개인 전체근육의 경우 자극의 세기가 커질때마다 세포가 활성화하여 계단모양의 그래프를 형성한다. 베버의 법칙 감각기에서 자극의 세기 변화를 느끼려면 처음 자극의 세기에 대하여 일정 비율(K)이상 변..
202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