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산염광물 1-2

2021. 9. 25. 19:23과학/지구과학

규산염사면체,SiO4 4-

마그마가 식으면서 나오는 규산염광물에 대해 알아보자.

 

온도가 높을때는 이온결합이,온도가 낮을때는 공유결합이 일어난다.

따라서 위에 보인는 규산염사면체가 서로 결합을 하게 되는데.....

 

1.2가 금속양이온과 산화이온 둘의 결합....... [1]

2.산화이온끼리의 결합....... [2]

원자간 거리 [1]>[2]

 

규산염광물(감람석에서 석영으로 갈수록 생성되는 온도가)

구분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석영
결정구조 독립형 단사슬 복사슬 판상 망상
구조식 Si:O SiO4 1:4 SiO3 1:3 Si4O11 4:11 Si2O5 2:5 SiO2 1:2
쪼개짐 깨짐 2방향(90,90) 2방향(120,60) 1방향 깨짐
풍화 약함 -----------------------------------------------------------------> 강함
  유색광물 유색광물 유색광물 유색광물 무색광물

-석영이 무색광물인 이유:전이금속이 들어갈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9D%B4_%EA%B8%88%EC%86%8D

석영을 제외한 다른 규산염광물들은 결합에 금속 양이온이 들어간다

ex)Fe,Mg,Ti,Cr,Mn->오비탈이 많아서 색을 발현시킬 수 있다

 

전이 금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이 금속(transition metal, 轉移金屬) 또는 전이 원소(transition element, 轉移元素)는 주기율표의 d-구역 원소를 말한다. 주기율표의 3족에서 12족 원소가 모두 포함된다. 전이 금속이라는 이름은 원소들

ko.wikipedia.org

A:마그마에 항상 감람석,휘석이 충분히 나올만큼 Fe,Mg가 많을까?

B:ㄴㄴ

->어쩔 수 없이 SiO2구조가 생긴다

이 과정에서 SiO2가 4번 반복될때마다 Si 2개가 Al 2개로 치환

이유:Si와 Al의 원자반지름이 비슷함

그리고 전하량을 맞춰주기 위해 2가양이온인 Ca가 들어간다.

Ca가 2가양이온이면서 지각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장석:

온도 높은 마그마 CaAl2Si2O8 Ca-사장석 감람석,휘석 생성중
온도 낮은 마그마 NaAlSi3O8 Na-사장석 휘석,각섬석 생성중
온도 매우 낮은 마그마 KAlSi3O8 정장석 각섬석,흑운모 생성중

온도가 낮을때는 Si-Al치환이 1번 일어남

NaAlSi3O8은 찌그러진 상태이고,KAlSi3O8은 펴진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장석의 특징

전이금속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무채색이다.

2방향 쪼개짐이 나타난다.

 

 

'과학 > 지구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평 좌표계와 적도 좌표계 2-2  (0) 2021.10.10
지구계의 구성과 상호작용 2-1  (0) 2021.10.10
변성암,퇴적암광물 1-4  (0) 2021.10.04
화성암광물 1-3  (0) 2021.10.04
광물과 암석 1-1  (0) 2021.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