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 #3.위수와 원시근
2021. 10. 26. 13:48ㆍKMO/정수
위수란?
2 이상의 정수 m 에 대해서 m 과 서로소인 정수 a일때, an 이 m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는 가장 작은 n 을 mod m에 대한 a의 위수 라고 한다. ordm(a)=r이다.
원시근이란?
원시근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오일러 함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자연수 n에 대한 오일러 함수 Φ(n) =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중, n과 서로소인 수의 개수)로서 정의 되는데, aΦ(m) 을 m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지만, Φ(m)보다 작은 n에 대해서는 an 을 m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지 않도록 하는 a가 존재할 때, a를 법 m(mod m)에 대한 원시근이라고 한다.
'KMO > 정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 #5.여러가지 부정방정식(미완) (0) | 2021.11.08 |
---|---|
정수 #4.정수조건 부정방정식의 전략들 (0) | 2021.10.29 |
정수 #2.소인수분해 관점과 최대공약수 설정 (0) | 2021.10.25 |
정수 #1.mod의 기본 성질 (0) | 202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