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7)
-
브라마굽타 공식 2023.06.23
-
생식과 발생 2
세포 분열이라는 것은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온다. 대부분이 세포 분열이라 한다면 위와 같은 사진을 떠올릴 수 있다. 하지만 세포 분열의 정확한 과정은 잘 알지 못한다. 오늘은 세포 분열의 종류와 각 세포 분열의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세포 분열은 먼저 체세포 분열과 세포 분열로 나뉜다.
2022.09.06 -
생식과 발생 1
유전 정보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달되며 생물의 특징을 결정 ※ 유전 정보는 염색체를 통해 전달된다. 염색체의 구성 (DNA+단백질) 보통 2개의 염색분체로 이루어져 있다. 염색분체 1개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염색체를 구성하는 물질 중 DNA는 "긴 사슬 모양을 띄며 유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포함하고 있는 유전 정보를 "유전자"라고 한다. 더보기 염색분체란? 염색체를 이루는 각각의 가닥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사진에는 2개의 가닥, 즉 2개의 염색분체가 염색체를 이룬다. 위의 염색체를 구성하는 2개의 염색분체의 유전 정보는 서로 같다. 이러한 상황과는 달리 상동 염색체 관계인 염색체 둘은 서로 유전 정보가 다르게 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동 염색체 상동 염색체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2022.09.06 -
STACK 게임소개 신버전
1. DECK의 구성과 플레이어의 패 구성 아래와 같은 4가지 문양들 중 일부가 각 카드에 새겨져 있다. (문양이 1개 새겨진 카드부터 3개 새겨진 카드까지 존재한다.) # @ $ & 따라서 다음과 같은 카드들이 DECK에 존재한다. #, @, $, &: *각 3장씩* (# @), (# $), (# &), (@ $), (@ &), ($, &): *각 4장씩* (#, @, $), (#, @, &), (#, $, &), (@, $, &): *각 4장씩* 총 4*3+6*4+4*4=52장의 카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각 플레이어는 7장의 카드를 가지고 시작하며 턴이 끝날 때마다 패가 7장이 되도록 카드를 버리거나 뽑는다. 2. 필드 구성과 승리 조건 2-1. 필드 구성 공통덱을 □, 세팅된 카드의 위치..
2022.04.23 -
스택 보물전 소개 #1.기본용어
보물의 키워드와 상태 각 플레이어는 보물을 4개씩 선택할 수 있다. 같은 종류의 보물은 최대 4개까지 채용할 수 있다. 보물은 다음과 같은 형식이다. "ATP:드로우3(게임중 1번)" 저 보물은 발동시 카드를 3장이나 뽑을 수 있는 대신 게임중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저 보물에서 드로우3는 키워드라고 볼 수 있다. 다음의 키워드가 존재한다. 드로우N:카드를 N장 뽑는다. 트래쉬N:카드를 N장 버린다. 체인지N:카드를 N장 바꾼다.(카드를 먼저 넣고 뽑는다.) 락N:발동된 턴 포함, N턴 동안 대상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연마N:카드들에서 광물을 최대 N번까지 지운다. 세공N:연마N이지만 이번턴에만 연마의 효과가 지속된다. 재장전:"게임중 N번"이라는 상태가 붙은 보물들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2021.12.18 -
구의 부피 증명
오늘은 구의 부피가 4πr³/3 인걸 증명해보려고 한다. 보통 교과서에서는 그냥 도구들을 사용해서 명확한 증명법을 알려주지는 않지만, 이번에는 제대로 해보려 한다. 먼저 이 증명을 하기 위해서 알아야할 사실로는 뿔의 부피가 (밑면)×(높이)/3인것과, 구의 겉넓이가 4πr²인것을 안다는 전제조건이 있다. 그럼 증명해보자. 이렇게 삼각뿔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 있다. 물로 나중에 미적분을 이용해서 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자. P.S 구의 겉넓이도 원기둥의 옆넓이를 이용해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2021.12.15